이글은  Korea Hetald June 11.4면 톱으로 보도된 이영일 의 영문 칼럼입니다

Until when will China support the Kim Jong-Il regime?

By Lee Young-il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 exchange of visits has become more frequent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since the turn of this year as it is the "China-DPRK friendship year." Since early spring, mutual visits by friendship delegations have continued in diverse sectors including not only party but government and private levels. I have pondered from various angles as to what grounds there are for China to lend support to North Korea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92. Those grounds have so far been told by our academic circles as the following three kinds of views:

The first is that North Korea and China hold the communist ideology in common, as well as an alliance forged in blood through the Korean War. The next is that the geographical propinquity of the two countries constitutes a "dentilabial security relationship." The last is that reunification under the South Korean leadership would allow the South, supported b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expand its power into the Korean-Manchurian border, thereby imposing a burden on the security of China. Recently added to these is the refugee influx theory, stating that innumerable refugees would storm into China in the event of North Korea's collap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21st century realities of today, the foregoing three opinions have either expired already or are nothing better than unrealistic hypotheses inferred through empiricism. In the first place, the ideological commonality long ago disappeared, and the Cold Wa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s international environment binding the two countries as blood-forged allies ended even earlier.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ich fought during the Korean War, terminated combat situations long time ago, and the status of China has lately been enhanced to G2 to share responsibility with the United States to find a breakthrough in terms of global economic destiny. On top of thi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at governs presently is no more a revolutionary party but a ruling one that governs China with other politically diverse and democratic factions.

In this respect, the character of the CCP differs entirely from that of the North Korean Labor Party that still pursues revolution. It is especially difficult to find anything ideologically in common with the KLP that holds fast not to an open but a closed posture toward the outside world while advocating the great leader theory. On the contrary, China today shares more common features with South Korea than the North as a system because the South, as a partner for strategic cooperation, is becoming China's significant companion for collaboration in a range of area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ecurity and culture.

Second, the dentilabial relationship hypothesis that many scholars have so far sympathized does not suit the situational logic either. Reviewing Deng Xiaoping's doctrine on war and peace, we cannot find any grounds to state that China and North Korea have dentilabial security relationship but they are mere neighbors that mountains and waters are connected between them.

Deng transformed the theory of inevitable war that Mao Tse-tung stressed into a theory of evitable war. Foreseeing that a peaceful era would continue without war between major powers during the upcoming 50 years in the first half of the 21st century, he viewed the possibility for Sino-American relations to turn inimical extremely low thoug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ould crisscross.

Especially revising a theory that war is unavoidable as long as capitalist states exist, he advocated that the cause of war comes from the pursuit of hegemony in the modern world. He then emphasized that China would restore its major power status not with military but economic force while accelerating modernization of the nation and upholding an anti-hegemonic stance.

With specific reference to relations with its neighboring countries, Deng stated that China had maintained longstanding and stable relationships during the past periods with the 15 nations that shared immediate borders with China among the 29 states in its neighborhood. He said particularly that China would sustain cooperative relations of mutual benefit and equality without resorting to "great powers deceiving smaller ones or the strong despising the weak."

From such a novel point of view on situations, the ideological commonalities or the doctrine of dentilabial relationship as a bond tying China and North Korea has long been expired. But China still takes sides with the North's position on the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consolidating its ties with Pyongyang. What is the reason for this?

Particularly, for what reason can China not repudiate North Korea, which places the onus on Chinese diplomacy by executing a nuclear test or firing ballistic missiles while ignoring U.N. resolutions and starving its own people?

China is known to worry about the possibility that refugees would flow into it if the North Korean regime suddenly collapses or bogs into chaos at this point in time. It is also said that China would hold on to its conservative position to sustain the regime until it finishes the assessment of the implications of South Korea-led reunification for the security of China because it is unclear how reunification under South Korean initiative would affect the political topography of Northeast Asia.

The refugee influx hypothesis, however, is tenable only when the great leader theory, which defines the North Korean people not as subjects the state should protect but as entities to consume for the purposes of maintaining the regime, gains power.

Should the North Korean regime turn into the one that would serve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the refugee exodus would never happen on North Korean soil that is accustomed to the tradition of family values. Such an exodus cannot take place if North Korea stops pursuing "the military-first politics" or "a great strong nation" and champions the "construction of a welfare society of low stage(shaokang society小康社會)" based on humanism as does China.

Because South Korea pursues cooperation with the neighboring major powers under the principle of mutual benefits and equality both before and after reunification, it does not intend to posses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uch as nuclear arms, ballistic missiles, or aircraft carriers. It is because the possession would give rise to intervention and containment from those countries that feel security threats from the strategic weapons, and thus the reunification and security of South Korea would rather suffer a fatal blow.

While being surrounded by great powers, South Korea takes a road leading to a strong and affluent nation by cooperating with its neighbors, as does the Netherlands in Europe. If the Korean peninsula is reunified under the South Korean leadership, there would be no need for the U.S. forces to be stationed in Korea any longer, and the reunified Korea would play a major part in creating a new economic and security community in this region in close cooperation and exchange with China.

At present, China seems to aid the Kim Jong-Il regime that threats South Korea and harasses the United States with nuclear arms and ballistic missiles. Albeit this may let China obtain some diplomatic benefi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the nuclear arms and ballistic missiles of North Korea do not suit the national interest of China from a long-term viewpoint. It is because the remilitarization of Japan would be accelerated and, furthermore, even South Korea would be tempted to possess strategic arms.

Additionally, China may not be said to have assumed an adequate role as a responsible major pow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unless the permanent member demands North Korea implement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nd links compliance to its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For China, North Korea today is of no use at all, only a burden. China sometimes gets caught up in human rights disputes because of North Korean refugees wandering about on its territory. Until when will China assist the dictatorial regime of Kim but not the people of North Korea?

It is my earnest hope that China now converts its North Korea policy from supporting the Kim regime that adheres to the great leader's anachronistic dictatorship into a direction that would help the ragged and starved North Korean people who have fallen victims to the military-first politics.

top

이글은 Korea Herald 2009년 6월 4일자 4면 Top기사로 보도되었고 통일한국 5월호 권두논문으로 실렸음

이제 NPT탈퇴를 공론화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 영 일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전 국회의원)

북한이 지난 5월 25일 감행한 제2차 핵실험은 북한 김정일 정권이 걸린 핵 병(核病)이 치료불능의 핵 암으로 발전했음을 입증하고 있다. 북한은 더 이상 국제여론이나 주변국들의 충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핵과 미사일 개발에만 돌진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북한은 북 핵 폐기를 목적으로 하는 어떠한 협상에도 응하지 않을 것이며 오직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조건하에서의 핵군축협상에만 임할 것임을 선언했다.

그간 미국은 클린턴 대통령시절부터 부시대통령의 2기에 걸친 12년 동안 외교협상을 통해 북한의 핵무장을 막으려고 긴 세월을 허비했다.

클린턴 대통령은 제네바합의를 통해 북한에 경수로를 건설토록 지원하는 한편 경수로 건설 시까지 북한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중유를 제공했다. 그러나 북한은 이면에서 우라늄 농축기술을 도입, 핵개발을 추진했음이 밝혀졌다.

부시대통령은 초기에는 북한의 핵무장을 막는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았다고 으름장을 놓았지만 결국 막판에는 외교실적을 올리기 위해 북한을 무마하는 유화책을 강구, 북한이 요구하는 금융제재를 해제하는 한편,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북한을 빼주고 식량지원은 물론 중유지원을 재개하는 당근정책으로 정책을 바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자회담 합의서 채택광경)

 그러나 으름장외교나 당근 외교의 어느 것도 북한에는 통용되지 않았다. 2006년 10월 제1차 핵실험에 이어 이번에 제2차 핵 실험을 감행하였다. 장단거리 미사일 실험도 국제여론과 관계없이 계속하고 있다. 중국도 공식적으로는 북한의 핵무장을 반대한다고 하면서도 북 핵 폐기를 강요할 제재조치에는 소극적이었다. 이점에서 러시아의 입장도 대동소이하다.

결국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처리는 실패로 끝났다.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은 5월 19일 폭스 TV에서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등이 함께 북한에 충분한 압력을 행사, 핵개발을 포기시키지 못한다면 국제 제재를 운위한다는 것이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6자회담은 실패로 끝났음을 지적하는 이야기다.


현시점에서 유엔안보리의 제재결의가 아무리 강해도 북한 핵 포기라는 결실을 얻을 수 있을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 물론 중국 측의 태도가 제1차 북의 핵실험 때와는 달리 “북한의 핵무장을 견결히 반대한다.”고 강도 높은 반대성명을 발표했지만 제재방법에 관해서는 동북아시아의 안정과 평화유지라는 단서를 달고 있어 실효 있는 제재가 이루어질지 의문이다. 앞으로 중국의 태도를 주시해야겠지만 6자회담의 당사국들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재조치를 일치된 자세로 강구하지 않는 한 북한은 계속해서 핵과 미사일 실험을 자행, 능력과 기술을 개발하면서 한반도의 군사주도권을 장악하려고 할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미국의 한국방위공약을 준수할 것과 핵우산을 제공할 것임을 다짐했다. 그러나 북핵문제가 제기된 지난 12년 동안 미국의 보여 온 태도는 미국이 진심으로 북 핵 폐기를 추구하는지를 의심해야할 대목들이 적잖다.

제1차 북 핵실험이 있은 직후 미국 부시대통령은 핵실험자체를 문제 삼기보다는 핵물질의 유출을 용납하지 않겠다고 말한 대목이다. 미국의 북핵문제에 관한 Red Line이 핵 폐기인지 핵물질 유출방지인지를 헷갈리게 하는 대목이다.

또 오바마 대통령 당선직후 로버트 게이츠 미국방장관이나 미국국방관련연구소 보고서들이 북한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 같은 논평을 내놓고 있는 점도 짚고 넘어가야할 대목이다.

북한이 핵보유국이 되더라도 한국은 한미방위조약과 미국의 핵우산만을 믿고 있으면 안보상 아무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로 연결되면서 북 핵의 폐기 아닌 용인가능성을 엿보게 하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북한은 두 차례에 걸친 핵실험 성공을 뒤에 깔고 남한을 향해 막무가내로 위협공갈을 퍼붓고 있다. 현재는 이런 공갈과 협박이 남북한 간의 소규모 군사충돌을 수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중국 人民大 교수 時殷弘)와 군사충동가능성은 크지 않고 강도 높은 심리전이 지속될 될 것(중국 國際關係學院 교수 張敏謙)이라는 견해가 갈리고 있지만 현재의 국면에 큰 변화가 없는 한 북측의 남한을 향한 핵 공갈은 일상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간 한국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핵확산금지조약(NPT)와 미사일 기술 통제체제(MTCR)에 가입했고 또 한반도 비핵화선언과 한미 원자력 협정에 묶여서 북한처럼 핵과 미사일 개발을 서두르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은 NPT를 탈퇴하고 한반도 비핵화선언을 짓밟고 MTCR을 외면한 가운데 두 차례에 걸친 핵실험과 장단기 미사일 발사를 통해 미사일 탑재 핵탄두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한미방위조약과 미국의 핵우산만을 믿고 북으로부터 가해지는 끝없는 핵 공갈을 감수하면서 안보위기를 감내해 나가야 할 것인가.

우리는 만시지탄의 감은 있지만 NPT조약가입이 한국안보의 최선의 방도가 될 수 없음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NPT조약을 마음대로 탈퇴해도 국제사회가 제대로 된 제재조치를 발동할 수 없는 상황을 살고 있다.

북한이 비핵화 공동선언을 무시하고 핵개발에 나서도 제대로 된 항의조차 못해본 노무현 대통령의 집권시대를 살아왔다. 전쟁을 피하려면 핵을 가진 북한에 차라리 항복하는 것이 현책이라고 떠들면서 촛불시위를 자행해도 단속할만한 공권력이 무력화된 한국식 자유민주주의의 시대를 우리는 살고 있다.


우리에게 확실한 안전판은 지금 어디에도 없다. 오직 우리 스스로 핵 억제력 없이는 국가안보의 전망이 지극히 불분명한 상황에 놓여있다.

상황이 이러해도 계속 NPT에 묶여 있어야 하는가.

NPT조약 10조는 탈퇴의 길을 열어놓고 있다. 즉 “모든 체약국은 이 조약의 핵심내용에 연관된 비상사태들이 자국의 가장 주요한 국가이익을 위태롭게 한다고 판단할 경우 주권행사를 통해 조약을 탈퇴할 권한을 갖는다.”고 규정하고 이러한 탈퇴를 결정했을 경우에는 미리 3개월 내에 체약당사국들과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 통보해야 하며 통보내용에는 침해받고 있는 주요 국가이익이 무엇인가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NPT조약탈퇴문제를 신중히 검토해야 할 때에 이르렀다. 한미 간의 원자력 협정도 2012년의 협상에서 재론해야할 단계에 이르렀다. 자위적 억제력은 북한만의 구호가 아니라 바야흐로 우리의 구호가 되어야 할 시점에 당도한 것이다.
top

4.19혁명의 현실적 이해를 위하여

이 글은 2009년1월 30일 오전 7시 서울 프레스클럽에서 열린 4월회 정기총회에서 행한 연설내용임

 

연사 : 이영일(李榮一) 4월회 고문

(4.19당시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3년생으로 서울대 시위 주동자의 1인이며 3선 국회의원 을 역임했고 현재는 한중문화협회 총재 및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09년 1월 30일 4월회 정기총회에서 4월혁명의 현실적 이해라는 제목으로 강연하는 이영일 총재)

1.들어가면서

 한국 민주주의의 새 시대를 연 4월 혁명이 내년이면 50주년을 맞게 된다. 4월 혁명은 그 당시의 상황이나 진행과정, 발생의 동기나 성립의 명분으로 보아 한마디로 한국의 민주화를 위한 혁명이었다. 이때부터 민주주의는 한국 국민들의 가슴속에, 뇌리 속에 가장 바람직하고 가치 있는 정부의 이념으로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1948년 5월 10일 국민이 직접 선출한 국회의원들이 제정한 헌법에 의거, 민주공화국으로 성립되었지만 4월 혁명이 있기 전까지는 민주주의가 이 나라의 정치이념, 정부형태를 결정하는 값진 정치원리라는 것을 국민들이 제대로 알지도 못했고 제대로 교육을 받지도 못했다. 당시 한국은 솔직히 말해서 전체유권자의 3%만이 서구적 오리엔테이션을 가졌고 문맹률도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의 리스트에 높은 순위로 올라있었다. 경제수준도 오늘날 동부 아프리카 수준보다 결코 높지 않았다. 바꾸어 말하면 이 당시 한국은 서방적의미의 민주주의가 성장, 발전할 조건을 거의 갖지 않은 상태 하에서 민주주의 헌법을 만들고 민주주의 정부를 세웠던 것이다. 이 결과 민주정치는 이승만 박사의 가부장적(家父長的) 독재정치로 변질되었고 민주주의 이름하에 실시된 선거는 독재정권을 민주주의로 포장하기 위한 형식으로 치러졌을 뿐 관권에 의해 유권자의 의사가 왜곡되는 부정선거였다.

그러나 민주정치가 12년 동안 계속되면서 헌법이 선언한 민주주의 규범과 정치 실재로서의 반민주 행태가 충돌하는 상황이 조성되고 여기에 점차 지식인들 간에 비판의식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결국 국민들 가운데서 민주주의 교육을 받은 대학생들이 맨 먼저 현재의 정치가 민주정치 아닌 독재정치임을 각성하게 되었고 이 결과 한국 사회계층 구조상 대학생들이 이의 시정을 요구하는 운동의 선두에 설 수 밖에 없었다. 대학생들은 사회계급이 아니고 사회적 신분집단이기 때문에 계급적 이해관계를 반영하지 않고 전체국민의 의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자기 조국이 일본의 식민지라는 사실을 먼저 각성한 학생 지식인들이 일제에 항거하는 3.1운동과 11.3 학생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사례와 궤를 같이하는 측면을 4.19혁명에서도 엿볼 수 있다. 3.15부정선거를 반대한 학생시위는 결국 독재정권을 타도한 학생혁명으로 발전하였다. 이 점에서 모든 혁명이 피지배계급이 지배 계급을 뒤엎는 사건으로 정의되는 혁명에 관한 보편적 개념과는 구별되는 측면이 있다. 즉 혁명의 주체가 계급적 이해(利害)를 혁명의 동력(動力)으로 한 특정계급이 아니고 전체국민의 의사를 대변하는 사회적 신분집단으로서의 대학생들이 혁명 활동의 주체였다는 점에서 지식인들에 의한 “측면에서의 혁명”이라는 평가도 주어졌다. (혁명을 위로부터의 혁명이냐 아래로 부터의 혁명이냐로 분류되는 것과 구별되는 의미에서의 혁명)

그러나 나는 4월 혁명을 한마디로 민주혁명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우리 역사를 통해 주권이 국민에게 있어본 일이 없었다. 항상 1인의 자유는 있지만 만인의 자유가 부정되는 동양적 전제주의 정치문화를 이어오면서 살아왔기 때문에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었던 적이 없었다. 일제로 부터의 해방과 건국은 이념상 국민에게 주권을 부여하고 있으나 정치현실에 있어서는 대통령이나 대통령의 권력을 집행하고 있던 관리나 공무원들이 주권을 행사했다. 주권재민(主權在民)아닌 주권재관(主權在官)이었다. 그러나 4.19혁명이 있음으로 해서 주권자가 대통령이나 공무원이 아닌 국민임을 확실히 각인시키는 역사적 전기가 마련되었다. 무주권(無主權)의 국민에게 주권을 부여하는 역사적 계기가 4월 혁명이었다면 혁명에 대한 이론적 정의가 무엇이고 관련된 학설들이 무엇이건 간에 한국역사에서 4.19는 민주혁명의 확실한 금자탑이 되는 것이다.

 

그동안 학계의 일각이나 정치권에서 혁명이냐 의거(義擧)냐의 논쟁이 있었고 완성된 혁명이냐 미완의 혁명이냐의 논쟁도 이어져왔다. 집권세력들은 학생들의 정치에 대한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 4월 혁명을 종결된 것으로 보거나 의거로 간주하려 하였고 야당들은 4월 혁명은 미완성의 혁명이라면서 정권의 수평적 교체(여당에서 야당으로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진정한 민주혁명이 된다고 주장하였으며 좌익들은 4.19는 민주민족혁명으로서 냉전과 분단을 넘어서자는 약소민족의 반제민주민족해방혁명의 한 고리로서 4월 혁명을 이해해야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기도 한다. 그러나 4.19이후 한국 민주화의 전개과정을 주목하여 현실적인 결론을 도출한다면 4월 혁명은 한국의 역사를 민주주의를 향하도록 굳힌 거대한 역사의 거보였음이 입증되고 있다. 이하 한국 민주화 과정과 4.19혁명의 상관관계를 살피기로 한다.

 

2. 4월 혁명 이후의 한국의 민주화과정 회고

 

가 5.16, 5.18 군사정권 등장과 민주화의 반동

4월 혁명 이후 한국 사회는 여러 차례에 걸친 정치적 변혁의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5.16군사쿠데타가 성공하면서 4.19를 통해서 국민이 쟁취한 주권은 다시 군부실력자의 수중으로 넘어갔다. 군부실력자의 수중으로 넘어간 주권을 되찾으려는 대학가의 투쟁은 부단히 계속되었다. 군부에서는 민주주의의 경제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개발독재가 불가피하다고 국민들을 설득했고 근대화의 구호 하에 독재 권력이 행사되는 이 시기의 어느 국면에서는 국민들의 군부에 대한 일정한 지지도 뒤따랐다.

그러나 5.16이후의 개발독재 시기는 이승만 독재시기와는 국민들의 의식상황이 크게 달라졌다. 주권은 반드시 국민들에게로 돌아와야 정당하다는 신념이 청년지식층은 물론 전체 국민들의 마음속에 광범하게 내면화되어 있었다. 이것은 4.19혁명이 다음 세 가지 요건을 충족시키면서 성공했기 때문이다.

 
첫째 참여의 전국성이다. 전국의 모든 지역에서 4.19혁명에 참여했다. 이점은 특정지역에 국한된 투쟁이었던 5.18과는 구별된다. 둘째 호응과 공감의 전국성이다. 국민의 일부가 아닌 전체국민이 4.19혁명에 대해 공감하고 지지했다는 사실이다. 이점에서 4.19혁명은 6.10항쟁이나 그 밖의 민주투쟁들과는 구별된다. 셋째는 전체국민의 대의(大義), 정당성(正當性)을 등에 업고 있다는 사실이다. 소수파들이 자기 집단의 이익을 위해 궐기한 모든 투쟁들이 결실 없이 끝난 것은 결국 국민적 정당성을 갖지 못했기 때문이다. 작년 5월의 촛불시위는 대중선동에는 성공했으나 그 본질이 위계와 허위사실유포로 조작된 것으로 밝혀지면서 생명력을 상실했다.

4.19혁명 이후 끊임없이 학생들이 주도한 주권재민(主權在民)을 향한 투쟁은 지속되었다. 6.10시위나 5.18광주항쟁 등이 그래도 국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은 4.19혁명이 그 성공을 통해 국민들의 의식 속에 비축해 놓은 지지(Reserve of Supports)가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4.19가 성공한 나라에서 5.16이나 5.18같은 반동정권이 등장했다는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 같지만 한국 민주화 성립의 기초여건 불비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보아야 한다. 4.19혁명으로 집권한 민주당 정부는 민주주의 원칙구현에만 지나치게 매달렸기 때문에 4.19이후의 혁명 상황을 제대로 주도하지 못하다가 5.`16군사쿠데타의 객체가 되었다. 국민들은 민주주의와 함께 빈곤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절실한 욕구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욕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능력이 없었다. 박정희 대통령 사거 후 민주화의 새봄은 왔지만 자유에 수반한 책임이라는 윤리의식이 마비된 정치상황은 결국 5.18의 길을 열어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반동정권이 들어섰다고 해서 4.19이념이나 혁명의 유산이 부정된 일은 없었다. 혁명이 아닌 의거라거나 완결된 혁명이라거나 하는 등 정치적 말장난은 있었지만 혁명의 본질적 가치는 한 번도 부정되거나 훼손되지 않았다. 오늘날에도 주권재민의 정치이념으로서의 민주주의는 우리 역사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다.

무릇 역사에서 보면 모든 혁명에는 항상 반동이 따르기 마련이었다. 프랑스혁명도 독재자와 전제군주의 등장을 영원히 분쇄한다면서 바스티유 형무소를 깨트린 벽돌들을 바닥에 깔아 콩코드광장을 만들었지만 민주정치를 부정하는 왕정은 부활했고 이러한 반동기를 거치고 거치면서 자유 평등 박애의 프랑스 혁명이념이 꽃피었던 것이다. (프랑스 혁명은 1789년 7월 14일부터 1794년 7월 28일까지 계속되었으나 1799년 11월 '브뤼메르 18일의 쿠데타'에 의하여 공화정이 무너지고 나폴레옹의 집정정부(執政政府)가 수립됨으로써 공식으로 "혁명 종결"이 선언되었다. 그러나 "1789년 혁명" 이라고도 불리는 프랑스 혁명의 자유, 평등, 박애의 이념이 어느 정도라도 정착된 것은 "혁명이 종결"된 후 20세기 초의 제3공화국에 이르러서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3. 앞으로의 과제

 

한국의 정치사는 4.19혁명의 성공이라는 역사의 금자탑이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음으로 해서 앞으로 민주화의 후퇴는 더 이상 있을 수 없는 상황이 조성되었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양대 지주로 삼고 국가발전을 추진해 온 한국은 현재 세계랭킹 13위의 경제대국을 이룩하였다. 돌이켜 보건데 우리민족이 서구(西歐)가 주도하는 근대화의 물결에 편승, 발전하지 못하다가 일본에게 식민지가 되었고 중국역시 반식민지가 되는 국가적, 민족적 수치를 당했다. 세계사 진운의 중심대열에 끼지 못한 민족이나 국가의 운명이 어떠했는지는 우리의 현대사가 잘 가르치고 있다.

이제 한국은 세계사의 중심대열에 끼여 있지만 조선인민공화국으로 대표되는 한반도의 다른 부분은 지구최빈국으로 전락, 세계사의 중심대열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에 놓여있다. 아직도 1인의 자유는 있으나 만인의 자유가 없는 국가로 남아있다. 북한 주민은 국가가 보호해야할 대상이 아니라 수령의 안위를 위해 소모되어야 할 대상으로 정의되고 있다. 남북한 간에 인민개념이 공유되지 않는 상황에서 우리민족끼리라는 말은 하나의 허구에 불과하다. 아직도 한반도에는 무주권(無主權)의 국민들이 2000만 명 넘게 살고 있다. 4.19민주혁명의 진의가 인민에게 주권을 부여, 인민을 국가의 주인으로 만드는 것이라면 아직도 주권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북한 동포들에게 주권을 찾게 하여 북한 땅의 실질적인 주인으로 만들어 주는 일이야말로 지금 우리 앞에 나서는 4.19혁명의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과제일 것이다.




top

김정일의 최근사진공개 심각히 야윈 모습에 재차 건강 불안설도(yomiuri-topnews)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홀쭉하게 야윈 모습의 金總書記의 寫眞。平壤의 金日成總合大에 新設된 水泳館에서. 朝鮮中央通信이 報道한 것, 撮影日은「最近」이리고 하고 있다=Reuter

【서울=淺野好春】北韓의 朝鮮中央通信은 19日付로, 金正日總書記(67)이 平壤市內의 金日成總合大學에 新築된 「水泳館(屋内pool)」을 視察하는 寫眞을 公開했다.

극히 最近의 寫眞임에 틀림없다고 보이지만, 이제까지의 것에 比해서 總書記의 「激하게 야윈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고, 健康不安이 再次 注目받을 것으로 보인다.

金總書記의 야윈쪽이 顯著한 것은 腹部。腦卒中으로 쓰러졌다는 2008年8月中旬보다, 前에 人民軍部隊를 視察했던 時点에서는, 몸이 불어나 있었다. 09年1月 訪朝한 中國共産黨의 王家瑞ㆍ對外連絡部長과 會談했을 때도, 腹部가 야윈 것을 알수 있었으나, 近影에서는 더욱 말라서, 홀쭉해진 것처럼 조차 보인다.

또한, Radio Press(RP)에 의하면, 朝鮮中央TV는 20日夕, 金總書記의 水泳館視察寫眞35枚를 放映。그 중에 26枚는 總書記를 찍은 것으로서, 痲痺說이 나왔었던 左手에서, 얼굴에서 벗은 Sun-glass를 내려뜨리고 있는 寫眞도 2枚確認되었다.

(2009年3月21日11時09分讀賣新聞)


------------------------------------




top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한의 戰力을 과대평가할 필요가 없다]

국가안보가 새삼 중요한 의미를 갖는 상황이 조성되고 있다. 북한이 금년 연초부터 남북한관계가 전면대결국면에 진입했다거나 대결의 길을 택한 한국을 혁명무장력으로 짓부수겠다고 공갈하면서 노골적으로 긴장국면을 조성해 오고 있으며 더욱이 북측은 오는 4월 초에 우주개발참여를 구실로 유엔안보리결의 1718호를 위배하더라도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것임을 관련 세계기구에 통보했기 때문이다.

현시점에서 국가안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그러나 국가안보에 대한 국민들의 경각심을 높인다는 명분하에 상대방전력을 과대평가하고 자국의 실상을 보다 낮게 평가하는 즉, 상대방전력이 호랑이라면 자국의 전력은 마치 고양이 정도인양 말하는 경향은 오도된 안보관이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2008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이 육군, 해군, 공군에서 전력이 증가된 반면 한국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고 전체적인 예비 병력도 한국군이 304만 여 명인데 비해 북한군은 770 여 만 명에 달하며 특히 북한군은 지상군 전력의 약 70%를 평양-원산 이남지역에 배치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 백서는 국가안보의 현실을 지적하면서 국민의 경각심을 높이자는데 목표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국내안보전문가들은 이런 통계숫자를 인용, 서울이 북한 장사정포의 사정거리 안에 있기 때문에 불바다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거나 특수군을 앞세운 기습공격, 땅굴을 이용한 공격이 개시될 경우 심각한 타격을 피할 길이 없다고 북측위협을 과장하고 있다. 여기에 편승하여 종북(從北)좌파들은 최근 달러환율이 1500원선을 웃도는 현상도 전쟁 발발을 두려워한 한국의 부유층들이 달러를 사재기하는데 원인이 있다고 분석하고 일단 남북긴장이 고조되면 외국인들의 대한투자가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경제 살리기가 더 어렵게 될 것이라면서 북측이 요구하는 6.15공동선언이나 10.4합의를 수용하여 남북긴장을 줄이는 것이 현책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런 안보논의들은 어떤 면에서는 나라를 걱정하는 체 하면서 실제로는 국민들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전쟁의 성패는 무기수준에서 결정되는 경우보다는 국민들의 승리에 대한 자신감과 사기(士氣)에 더 좌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북측의 전력을 과소평가해서도 안 되겠지만 그렇다고 필요이상으로 부풀려 과대평가할 필요도 없다. 필자는 오랫동안 북한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북한군의 실상이라는 측면과 북한체제의 현실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북한의 대남공세능력을 대단히 우려할만한 수준이라는 평가에 선뜻 동의하지 않는다. 필자의 소론은 아래와 같다.


우선 북한군의 실상을 들여다보자. 우선 북한군은 6.25동란 이래 한 번도 전쟁을 해본 경험이 없는 군대다. 1인의 독재자에게 맹종하는 군사 쇼 부대로 훈련은 되었을지언정 국가와 국민을 위한 군대로 단련된 군이 아니다.
 
둘째로 북한군은 상층 지도부를 제외한다면 거의 대부분이 굶지 않기 위해서 군에 복무하고 있는 형편이며 자기 가족들이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을 체감하면서 복무하는 군대라는 사실이다.

셋째로 북한지상군의 병기는 이른바 4대군사로선이 관철되었다고 선언한 1970년이 최상수준이었다. 그러나 무기는 사용치 않을 경우 매 5년마다 고철화(古鐵化) 1차 년도에 진입하기 때문에 휴전선일대에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를 비롯한 장단거리 대포들은 예외 없이 고철화 30년을 넘어선 것들이다. 한국보다 수적으로 많다는 전차나 탱크들도 고철화의 운명을 피할 수 없으며 에너지난, 식량난을 겪으면서 제대로 된 훈련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유사시에 제대로 작동될 수 있을지 마저 의심된다고 탈북자들은 증언하고 있다.
 
또 북한군 지휘 계통에도 1936년생으로 최고령인 김일철이 북한군 총수인 것으로 보아 현대전을 지휘할만한 전략가가 없어 보인다.

다음으로 북한체제의 현실은 탈북자들의 출현에 의해 그 내부정황이 해체위기에 접어들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탈북은 자기 목숨을 지키면서 김정일 정권에 대항하는 북한 주민들의 결단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수십만 명에 달하는 탈북자의 출현은 북한정권담당자들이 경제난에 허덕이면서 사리사욕에 눈이 뒤집혀 매수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동시에 이들 탈북자들의 북한 내왕이 잦아지면서 ‘외부세계로부터의 정보유입차단’이라는 북한체제유지의 근간이 무너지고 있는 것이다. 요즈음 김정일 정권은 소위 비사회주의 그룹빠를 내세워 주민감시를 강화하고 주민통제에 지장을 주는 장마당을 폐쇄하기로 했지만 주민들의 거센 저항으로 장마당 폐쇄는 무기 연기되었다.

오늘의 북한은 경제지표로 보면 아프리카 대륙의 소말리아 수준의 빈국이며 주민들의 희생과 기아위에서 대량살상무기를 제조하고 이를 수단으로 정권을 지탱해 나간다.
 오늘날 지구 최빈국인 북한을 공격하거나 침략할 나라는 없다. 그러나 김정일은 정권을 지키고 “3대 세습”이라는 시대착오적 실험을 성공시키기 위해 일부러 침략할 적을 조작해놓고 주민들의 고혈을 짠다. 물론 북한의 미사일이나 핵무장은 우려할만한 것이지만 이 위협은 한국만의 단독대처사항이 아니고 주변강국들과 협력해서 대응해야할 과제이다. 따라서 우리는 북한의 전쟁위협을 무시해서도 안 되지만 그렇다고 북의 능력을 과대평가해서는 더더욱 안 될 것이다. 오히려 북한의 오판도발은 북한자멸의 기회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op


 

한국 야당은 민주정당인가 아니면 혁명적 계급정당인가.

우석대학교 초빙 교수 이영일

한국정치는 지금 국민적 혐오의 대상으로 변하고 있다. 정치만 제대로 굴러간다면 세계 어느 나라도 부럽지 않을 만큼 모든 부면에서 미래가 밝은 나라인데 정치 때문에 나라의 앞날이 갈수록 어두워만 가기 때문이다.

오늘의 한국정치가 이렇게 저질로 타락한 데는 건국이후 민주화과정의 잘못된 유산이 아직까지 청산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민주정치는 한국사회의 내적 성장의 결과로 시작된 것이 아니다. 해방과 더불어 민주정치를 실천할만한 아무런 준비가 없는데도 민주헌법이 만들어지고 이 헌법에 의거하여 대한민국이라는 공화정치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민주화를 향한 진통과 갈등은 당초부터 그 불가피성이 예견되었다.


주권은 헌법상으로는 국민에게 있었으나 실제로는 대통령에게 있었다. 대통령을 보필하는 관료가 주권을 행사했다. 여당은 대통령의 시녀로 전락했고 야당은 여당과 타협하거나 협력하지 않는 강경투쟁을 정의로운 것으로 생각했다.


4.19
혁명으로 주권은 다시 대통령과 그의 하수인이었던 공무원으로부터 국민에게로 돌아왔다. 그러나 곧이어 발생한 5.16군사혁명으로 주권은 다시 혁명적 방법으로 권력을 찬탈한 군부로 넘어갔다.


박정희 대통령 사후 다시금 민주화의 분위기가 조성되었으나 신군부가 정국을 주도하는 사태가 발생함으로 해서 주권행사의 주체는 또다시 군부실권자들의 손에 넘어갔다. 결국 한국의 민주정치는 5.18민주화운동과 6.8항쟁 등의 민주투쟁 끝에 1987년의 6.29선언을 끌어냄으로써 새롭게 개화했다.


이제 한국정치에서는 더 이상 비헌법적 또는 헌법외적 방법으로 국가 권력을 장악하는 시대는 끝장났으며 오직 합헌절차에 따라 국민의 자유선거로 정권이 형성되고 교체되는 제도가 확립되었다.


권위주의 시대의 특징이었던 야당탄압이나 언론통제는 사라졌고 정치자금이 의석수에 비례해서 각 정당에 고르게 분배되는 시대의 문이 열렸다. 이제 한국 민주정치는 민주화를 향한 변화의 시대가 아니라 민주화 선상(
線上)에서 민주주의의 수준을 더 높은 단계로 끌어올리는 정치발전의 시대에 진입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정치의 현실은 어떠한가. 권위주의 정권과 싸우던 강경투쟁의 낡은 전통에서 조금치도 벗어나지 않았다. 강경도 보통 강경이 아닌 이른바 선명성을 내세운 극단적 강경, 초강경의 낡은 유산에 메어있다.


한국의 민주정치는 Bernard Creek가 정의한 것과는 달리 각 정당들이 정치공동체의 존속과 발전에 기여하는 정도에 비례해서 자기 몫을 분배받는 과정을 의미하지 못했다.


오늘의 한국정치에서는 아직도 전부(
全部)냐 전무(全無)냐를 놓고 초강경투쟁을 벌여야 만이 야당이 사는 길이라고 맹신하는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국회의사당의 출입문을 해머로 때려 부수고 점거농성을 벌이고 의사당 출입을 저지하는 투쟁을 벌이는데서 야당은 존재이유를 찾고 있다.


이 투쟁을 얼마나 잘하느냐에 야당의 미래가 달려있다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부추겼다. 야당 지도자로서 김대중 씨는 아무 쟁점이 없는 법안이라도 대화와 타협으로 통과시키는 것보다는 무슨 난관을 조성해서라도 여당으로 하여금 순리 아닌 방법으로 법안을 처리하여 국민들의 분노를 유발시킬 수 있어야 진정한 선명야당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김대중 씨가 한평생 걸어왔던 투쟁의 역사였다.

권위주의통치와 맞서야 할 때는 이러한 투쟁방법도 어느 정도의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권위주의를 넘어선 민주발전의 시대다. 독재자도 없고 야당을 속박하거나 얽매는 장치도 없다. 국민들이 자유롭고 평등한 선거로 정권을 성립시키고 교체하는 성숙한 민주주의의 시대다.


또한 현시점은 여야의 차이를 따질 수 없을 만큼 심각한 국가적 도전이 우리 앞에 나서고 있다. 우리를 엄습해온 지구적 규모의 경제난국, 북한이 매일 같이 조성하는 고강도 심리전 수준의 도전 상황은 어느 것 하나 초당적 대처가 필요치 않은 것이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여야가 도전극복을 위해 지혜를 짜는 대신 정치권 전체를 갈등과 대립의 와중으로 몰고 간다면 이처럼 심각한 위기는 없을 것이다. 한국 민주정치발전의 어느 시기에 선명강경투쟁을 통해 야당이 얻었던 지지의 비축(reserve of support)은 이미 고갈된 지 오래다.


야당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는 10%대로 추락하고 있다. 국민들은 강경투쟁보다는 합리적 대안으로 토론과 타협을 통해 내외도전극복에 필요한 입법, 경제를 회생시킬 입법, 일자리창출에 기여할 입법, 국가안보를 강화할 입법을 바라고 있다.


야당은 마땅히 국민의 여망에 부응해야 그 존립의 의의가 빛난다. 강경투쟁으로 국회를 파탄시키는 야당은 체제내의 야당이 아니다.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합의가 도출되지 않을 경우 표결로서 국민의사를 관철시키는 것이 민주정치의 상궤이다. 야당이 이 길에서 벗어난다면 더 이상 우리가 지향하는 민주정치의 야당은 아니다. 그것은 혁명정당이거나 계급정당일 뿐이다. 한국야당은 김대중 주의의 정치유산을 청산할 때 비로소 체제 안에, 역사 안에 있어야 할 정당으로 거듭날 것이다. 여기에 한국 민주주의의 참된 승리가 있지 않을까.

 

 

top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으로 식량을 싣고 들어가는 화물추럭들)

 

                         이명박 대통령의 대북정책은 강경한가


                                                                                     전주 우석대학교 초빙교수 이 영 일

요즈음 MB의 대북정책은 일부 중도좌파학계와 일부 정치권에서 현재의 정책을 바꾸라고 연일 강력히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MB의 정책이 너무 강경하여 북측의 반감을 삼으로써 실효성을 상실한 만큼 조속히 바꾸어야 남북한관계가 다시 살아난다고 주장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 등 친북좌파정치권에서는 MB의 대북정책이 미국 부시 대통령의 정책을 답습한 것으로 이미 실패했다면서 폐기,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요구는 이제 학자들이 중심이 된 서명운동으로 표현되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MB정책의 역주행(
逆走行)을 막기 위한 국민투쟁을 선동하는 이른바 민주연대로 조직되고 있다.

이러한 저항이나 요구는 한마디로 김대중, 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이 김정일을 찾아가 그의 요구를 수용해서 만든 소위 6.15선언과 10.4 정상합의라는 일종의 정치어음을 MB가 결재해주고 북측의 추가요구가 있을 경우 또 이를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MB가 이런 정책을 채택한다면 그는 자기를 대통령으로 선출해준 절대다수 국민들로 부터 거센 반발을 유발, 결국 정권에서 물러나는 상황에 직면할 것이다.

왜냐하면 김대중, 노무현 두 대통령은 그들의 국가관이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대한민국의 탄생자체를 못 마땅하게 보는 가치관을 견지하는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김대중 씨는 항상 제헌국회선거를 보이콧해야 한다고 주장한 독립운동지도자들을 옹호해왔다.

또 노무현 씨는 한때 대한민국은 태어나서는 안 될 국가였다고 말하고 남북한관계만 잘되면 다른 것은 다 깽판을 쳐도 좋다고 말한 사람이다. MB정권이 이런 사고방식을 가진 전직 대통령들이 김정일과 맺은 합의를 무조건 승계한다면 필연적으로 국가정체성의 위기를 초래할 것이다. 이명박 씨를 대통령에 당선시킨 지난 대선은 절대다수의 국민들이 이러한 국가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들의 주장을 MB정부가 수용한다면 북측은 핵 포기가 아닌 핵개발을 강화할 것이다. 국내좌파들의 주장을 들어보면 북핵문제는 6자회담을 통해 해결할 과제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남북한관계에서는 핵문제를 거론하지 말고 그 대신 기존의 남북합의를 존중하면서 북한을 달래는 정책을 펴서 남북관계를 풀어가는 것이 오바마 집권이후 한국이 고립을 피할 수 있는 올바른 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중국이나 미국의 한반도문제 전문가들은 북한이 말로는 핵 포기의 미끼를 국제사회에 던지지만 실제로는 핵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사실 김정일 정권은 핵 포기를 곧 정권의 포기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핵 포기 없이는 북한이 어떠한 방도로도 살 수 없다는 것을 실존적으로 체감하지 않는 한 협상을 통한 북 핵 폐기의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전무하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 핵을 거론하지 말자는 것은 북 핵을 눈감아주자는 것으로 북한의 핵개발을 돕자는 것에 다름 아니다. 과거 햇볕정책의 가장 큰 과오는 결과적으로 북 핵을 지원한 것이다.

한국이 북측에 보낸 대부분의 물자가 북한 산업재건이나 주민생활의 개선에 쓰이지 않고 북측의 선군정치의 유지에 활용되었다는 사실을 한국의 북한전문가들은 직시해야 한다. 김대중, 노무현 씨는 그들의 정책실패를 덮기 위해 인정치 않더라도 학자들마저 분명한 사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지난 대선은 이처럼 오도된 햇볕정책에 대한 국민의 심판 이였다.


현재 MB의 대북정책은 한마디로 김대중, 노무현 정권에 의해 오도된 남북한 관계를 정상화하자는데 목표가 있다. 결코 강경하지도 않고 결코 남북한관계를 파탄시키자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일부 학계와 일부 정치권은 김정일이 MB정부에 해야 할 말을 대변해주고 있다. MB의 대북정책이 강경하다는 것은 북한에 핵 포기를 요구하고 한국의 대북지원을 선군정치 아닌 민생지원으로 바꾸겠다고 하기 때문이다. 왜 이러한 요구와 주장을 강경하고 남북한관계를 파탄시키는 정책이라고 말 할 수 있는가. 왜 실패한 정책이라고 비판하는가.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 당선자도 선거공약이라고 해서 북한이 던지는 핵 포기의 미끼만을 믿고 대북직접협상을 추구할 리 없다. 그도 북 핵 포기의 전망이 확인되지 않는 한 대북직접협상은 여건이 성숙된 이후의 과제로 미룰 것이다.

또 북 핵 해결의 전망이 서지 않으면 오바마 당선자의 외교정책자문팀장 프랭크 자누지가 말한다는 한반도 평화체제를 위한 국제협상도 서두를 수 없을 것이다.

(
)정권 때처럼 한국의 입장이 북 핵의 포기인지 묵인인지가 불분명해서는 북 핵 포기를 위한 한국의 역할이 혼선만 빚을 것이다. 이 점에서 북 핵 포기라는 정확한 목표를 세워 놓고 남북 관계를 풀어가려는 MB의 대북정책은 한미공조를 위해서도 너무나 정당한 선택이 아닐 수 없다.

결코 강경하지도 않고 불분명하지도 않은 정도(
正道) MB가 걷고 있기 때문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