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제2기 체제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

--해양국가노선이 우리의 출구이다.(헌정지 2017년 10월호)

 

이 영 일 한중정치외교포럼회장 (11,12,15대 국회의원 역임)

 

1.들어가면서

 

중국은 오는 1018일 제19차 당 대회를 가짐으로 해서 당 총서기에 연임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중국역사의 새로운 장을 펼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 세계의 중국전문가들은 이구동성으로 시진핑 주석이 중국공산당 창당이후 모택동(毛澤東)전 주석에 버금가는 막강한 지도력을 행사할 인물로 평가한다. 중국현대사에서 영향력이 컸던 지도자를 손꼽으라면 누구나 모택동과 등소평(鄧小平)을 들 것이다. 이 두 사람이 중국인민들로부터 추앙받거나 높이 평가받는 이유는 그들이 각기 이룩한 업적 때문이다. 그러나 제19차 당 대회에서 제2기 당 총서기로 선출된 시진핑 주석은 모택동이나 등소평에 견줄만한 업적이 없다. 그러나 그의 카리스마는 모택동이나 등소평에 못지않다. 그러면 무엇이 시진핑 주석을 이렇게 강력한 리더로 부상시키고 있는가. 이하에서 시진핑 주석이 누리는 카리스마의 근거를 하나씩 살펴보면서 19차 당 대회 이후를 전망해보고 한국의 대응방도를 모색하기로 한다.

 

2.시진핑 리더십의 정치명분

 

19차 중국공산당 대회가 시진핑에게 공식적으로 맡긴 과업은 공산당이 인민들에게 제시한 이른바 두 개의 100, 즉 당 창건 100주년(19212021)을 성과 있게 마무리하고 건국100주년(19492049)과업의 토대를 착실히 다져서 차기지도자에게 넘기는 일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국민들의 의식주문제를 해결한 샤오캉(小康)시대를 넘어서서 선진화의 혜택을 전체 인민들이 누리게 하는 더 높은 단계의 샤오캉 시대로 국가의 발전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시진핑이 누리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명분은 이런 공식적인 당 공약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시진핑은 5년 전 국가주석에 취임하면서 대내외를 향하여 위대한 중국의 꿈을 실현하겠다고 외쳤다. 시진핑은 중국이 서구열강에 짓밟히던 100년의 한을 풀고 다시금 중국을 세계정치지도국의 반열(패권국가의 지위회복)에 올려놓겠다는 큰 꿈과 포부를 피력, 국민적 공감과 기대를 끌어낸 것이다. 이같은 포부천명에 이어 그는 앞으로 중국민족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등소평이 강조한 도광양회(韜光養晦-중국이 발톱을 내보이지 않고 음지에서 힘을 기르자-)의 궤도에서 벗어나 중국의 신장된 국력에 걸 맞는 영향력과 발언권을 세계정치에서 행사해야한다고 선언했다. 특히 중국의 경제력이 G2반열에 오르고 2008년 세계금융위기로 미국과 서방국가들의 국력이 침체하자 그간 개발도상국처럼 행세해온 중국의 외교를 강대국 형으로 급속히 바꾸면서 세계정치에서 중국이 미국과 대등한 발언권과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신형대국관계 형성의 문제를 제기했다. 동시에 그는 서방이 자기들의 편익을 위해 만들어 낸 국제규범과 관행은 존중은 하지만 거기에 일방적으로 매이지 않고 세계인구 5분의 1을 점하는 중국의 요구와 필요에 맞는 규범과 제도를 만들어나가겠다고 주장했다.

 

중국공산당은 이렇게 큰 포부와 목표를 가진 지도자가 일을 잘 추진해나가도록 그에게 강한 힘을 실어주자는 취지에서 모택동이 누렸던 수준의 권한과 호칭을 부여했다. 우선 시진핑을 모택동처럼 인민해방군에게 훈시(訓示)하는 지도자로 격상시켰다. 이어 시진핑 동지를 핵심으로 하는 당중앙이라는 호칭을 부여했다. 그의 리더십과 카리스마는 이러한 상황에서 조성된 것이다. 그는 이러한 지지를 배경으로 내치에서는 중국공산당의 가장 큰 병폐인 부정부패척결을 과감히 단행했다. 인민들은 그에게 뜨거운 갈채를 보냈고 지지는 상승했다. 군부에 대해서도 과감한 부패척결과 인사쇄신을 단행했다. 당 기율검사위원회를 앞세운 부패척결은 질과 양면에서 큰 성과를 올렸다. 그는 외치(外治)에서도 다른 지도자들과 구별되는 비전을 제시했다. 유럽과 아시아대륙을 해상과 육상으로 연결하는 일대일보(一帶一路) 구상을 내놓고 이를 물질적으로 뒷받침할 금융기구로 아시아 인프라 투자개발은행(AIIB) 창설을 주도했다. 바야흐로 해양실크로드와 대륙 실크로드로 불리우는 일대일로는 중국의 새로운 발전비전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시진핑은 이처럼 그의 꿈과 포부를 국민적 기대에 일치시킴으로써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한 것이다.

 

3. 넓어진 전선과 갈등상황

 

. 대내적 갈등요인

시진핑은 그의 강한 리더십에 못지않게 그를 향한 도전도 만만치 않다. 반부패투쟁은 인민들의 지지는 받지만 중국을 이끌어가는 공산당 내에서는 오히려 반발이 거세다. 서방세계처럼 중국이 죄형법정주의(罪刑法定主義)를 채택하고 있다면 반부패투쟁에 대한 당내외의 지지가 다를 수 없다. 그러나 중국은 당 적(黨的) 필요에 따라 유죄가 무죄가 되고 무죄가 유죄가 되는 나라이기 때문에 시진핑이 아무리 의법치국(依法治國)을 강조해도 당내에서는 부패척결을 정적(政敵)제거의 수단으로 밖에 평가하지 않는다. 중국공산당의 부정부패는 너무 보편화되어 있어서 당 기율검사위원회가 호출하는 사람은 누구라도 그 순간부터 부패분자가 되고 만다. 이래서 반부패전선은 인민들의 갈채에도 불구하고 공산당 내부의 심각한 분열의 씨앗이 된다. 이와 연계되는 맥락에서 지역 간, 계층 간에 확대되고 있는 격차와 불평등도 시진핑이 외면할 수 없는 도전적 과제다. 대내적으로 문제되는 또 다른 전선은 신장위구르 지역의 독립운동과 민주화를 향한 정치개혁요구다.

이러한 갈등과 저항을 잠재우기 위해 시진핑은 인민해방군 예산보다 더 많은 공안예산을 편성하고 지구 최고수준으로 인터넷 등 SNS를 통제하며 노벨평화상을 받은 류사오보 등 중국민주화를 부르짖는 세력들을 국가반역분자로 가차 없이 처단한다.

 

. 대외적 갈등요인

대외적으로 중국이 당면한 갈등요소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여러 나라들과 벌이는 영토분쟁이다. 앞으로 이러한 해양영토분쟁은 자칫 미중 간에 군사충돌을 일으킬 가능성마저 내포하고 있다. 서양국제법이 남중국해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주장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차이잉원 총통이 이끄는 대만문제역시 현시점에서 시진핑이 피해갈 수 없는 전선의 하나이며 특히 중국이 그 존속을 오래 동안 지원해온 북한의 핵문제역시 시진핑이 풀어나가지 않을 수 없는 전선이 되고 있다. 또 일도일로사업도 겉보기와는 달리 어려움이 중첩된다. 인도와 중국의 갈등 때문에 해양실크로드는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대륙실크로드는 카자크스탄이 독자노선을 천명하기 때문에 난관에 부딪치고 있다. 기축통화로서의 달러의 위력이 살아 움직이기 때문에 미국의 보이지 않는 견제가 AIIB를 포함한 일대일로사업의 진로를 평탄케 할 수없다. 이점에서 시진핑은 야심과 포부는 크지만 장쩌민이나 후진타오시대보다 훨씬 많은 전선에 둘러싸여 있다.

특히 시진핑 외교에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주변국 정책이다. 그는 주변국들을 운명공동체의 일원이라고 추키면서 친성혜용(親誠惠容)의 자세로 주변국들과 공생 공영할 것을 제창했다. 그러나 중국의 국력이 G2수준으로 올라가면서 시진핑의 태도는 달려졌다. 아시아에서 미국을 몰아내고 중국이 패자(覇者)가 되겠다는 목표를 밝혔기 때문이다. 시진핑은 2015521일 샹하이에서 열린 CICA총회(아시아신뢰구축 및 상호교류회의)에서 아시아 집단안보구상을 피력, 그의 포부의 일단을 들어냈다. 아시아 집단안보구상은 이를 쉽게 풀이하면 중국이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중국주도로 아시아 안보질서를 새롭게 재편하겠다는 것이다. 이 연설을 계기로 중국은 자기들이 운명공동체의 일원이라고 정의한 주변 국가들이 중국의 대미안보정책에 역행(逆行)하는 정책을 선택하지 못하도록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오늘날 중국이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일으키는 영토분쟁이나 한국의 사드배치에 대해 보이는 강경보복이 중국의 대주변국 정책의 변화를 웅변한다. 중국이 말하는 운명공동체란 결국 중국판 핀랜드화(Finlandization)의 다른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시진핑은 자기 이전의 지도자들이 관리했던 2~3개의 전선이 아니라 대내외적으로 7~8개의 많은 전선(戰線)을 꾸려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이것이 부메랑이 되어 그의 리더십은 크게 위협받을 수 있는 약점도 지니고 있다.

 

4. 전망과 한국의 대응

 

. 시진핑 체제의 전망

 

오는 제19차 중국공산당 대회는 시진핑의 권력을 강화하는 방향에서 그를 제2(2018-2022)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군사위원회 주석으로 선출할 것이다. 중국의 당과 국가운영에 영향력을 미치는 장쩌민이나 후진타오 계의 인물들은 배제되고 시진핑 동지를 핵심으로 하는 당운영에 협력하는 충성분자 중심으로 시진핑 1인위주의 당국가체제가 정비될 것이다.

중국은 그간 여시구진(與時具進)의 구호아래 상황변동에 걸맞게 변신해왔다. 그러나 중국정치의 과제는 해가 갈수록 어려워진다. 모택동은 공산당이 인민에게 빵만 잘 배급하는 것으로 인민을 다스릴 수 있었다. 등소평의 중국은 일자리만 주면 인민들이 따라주는 나라였다. 그러나 시진핑의 중국은 인민들이 돈과 식량과 정보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지속적인 지지를 공산당이 확보해나가기가 갈수록 어려워진다. SNS를 통제하고 민주화요구를 짓누르는 공안 통치도 그 시효가 얼마 남지 않았다. 중국의 부정부패는 페이 민싱(Minxing Pei)이 그의 끼리끼리 해먹는 자본주의”(Crony Capitalism)에서 설파하고 있듯이 생활화, 제도화되어 있기 때문에 발본색원은 일당독재를 지향하는 공산당이 있는 한 불가능한 일이다. 또 중국경제도 10%대 이상의 성장을 과시하던 고도성장시대는 끝났다. 저성장이 일반화하는 뉴노말(New Normal)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쇠퇴하는 미국’(Declining America)굴기하는 중국(Rising China)”이라는 가정(假定)위에 세워진 시진핑의 대외정책이 곧장 성과를 올릴 전망은 보이지 않는다. 쇠퇴해야할 미국경제는 자본주의 국가들 중에서 가장 빨리 2008년의 세계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세일가스 개발로 경제 활력 되찾았다. 고용이 증진되고 재 약진의 추세가 역력하다. 달러화의 영향력은 아직도 막강하다. 앞으로 시진핑의 제2기 체제하에서 중국의 국력이 더 크게 확대되는 것을 기대할 수 없지만 단기적으로 보면 그의 내치외교 면에서는 아직도 막강한 공산당의 조직력과 공안 통치를 통해 안정 기조를 지켜나갈 것이다.

 

. 한국의 대응

우리는 사드사태를 겪으면서 중국의 민낯을 보았다. 남중국해와 동중국해에서 벌이는 중국의 영토분쟁에서도 중국이 말하는 중국민족의 위대한 꿈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아시아 국가들도 제대로 체득했다. 따라서 앞으로 시진핑의 대주변국 정책은 심각한 난관에 봉착할 것이다. 그간 중국이 운명공동체의 일원이라고 부르던 주변국들이 중국의 핀랜드(Finlandization)요구를 단호히 거부하고 미국이나 서방국가들과 연대하면서 자국의 자율성을 높이고 안보주권을 수호하는 태세를 강화하기 때문이다. 또 국제법이 보장하는 자국의 영토를 G2로 평가되는 중국의 힘에 밀려 빼앗기지 않으려고 버틸 것이다. 지금 동중국해에서는 센카쿠 열도(釣魚島)문제를 놓고 일본과 중국 간에는 이미 총성 없는 전쟁이 진행 중이다.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가 중국에 대해 보이는 단호한 자세는 중국의 주변국외교정책의 실패를 입증한다.

중국이 한국의 사드배치에 대해 보이는 간섭과 경제보복은 안보주권의 침해가 분명하다. 이러한 태도를 좌시해서는 안 된다. 중국이 그간 학계를 앞세워 시도해왔던 동북공정이나 서남공정이 단순한 학술연구차원을 넘어서서 시진핑의 동아시아 패자추구의 영향권을 그리는 작동이었음이 점차 밝혀지고는 있다. 특히 시진핑은 지난 4월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에서 한반도를 과거 중국의 속방(屬邦)이었다고 말했던 것으로 보아 조만간 황해바다를 한국의 영해아닌 자국의 내해로 주장하거나 이어도를 자국의 영토라고 우기는 분쟁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한중간에는 수교가 25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황해바다를 사이에 두고 영해범위와 EEZ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중국어부들의 어로침략은 끊이지 않는 실정이다.

 

현시점은 한국이 중국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결단을 내릴 상황이다. 중국이 자기들의 편의에 따라 자기들만 그 의미를 알고 해석하면서 만든 양자관계, 즉 협력적 동반자관계라거나 전략적 동반자관계라는 고리를 붙들고 어정쩡하게 경제교역을 하면서 안보주권행사를 제약받는 대륙지향국가로 살아갈 것이냐 아니면 해양세력의 대륙진출 교두보로서 한국의 지정학적 운명을 재정의(再定義)하고 미국 등 서방민주국가들과 제휴하면서 국가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인가를 결단해야할 시점에 왔다. 대륙세력의 꼬리가 되느냐 해양세력의 대륙진출의 교두보가 되느냐 중에서 택일해야 할 시점이다.

한국은 역사적으로 대륙 국가를 지향할 때는 항상 가난한 약소국가였다. 강대국인 중국을 섬기고 살아야 했다. 다행히 우리는 해방 후 해양국가노선, 자유민주국가노선을 추구하면서 미국과의 동맹을 통해 안보를 확보하고 경제발전을 추진, 세계 랭킹 10위를 넘나드는 국가발전을 이룩했다. 현시점에서 우리는 경제, 문화, 기술, 학문적으로 중국을 섬길 이유가 없다. 중국은 우리에게 시장이 큰 나라로서 비중이 큰 것은 사실이다. 이점에서 교역과 거래는 적극 추구해야 하지만 예날처럼 배우고 섬길 나라는 아니다. 국제법과 시장(市場)을 존중하는 국가들과 어울리는 해양국가노선으로 우리나라의 진로를 결단해야 할 때다. 바야흐로 문재인 정권은 중국의 허장성세 심리전에 압도되어 탈미자주(脫美自主)를 부르짖는 어리석음을 버리고 용미자주(用美自主)를 추구하는 해양국가의 길로 나아갈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top

[Lee Young-il] North Korea’s nuclear gamble: Why Kim should be denied his bomb By Korea Herald Published : Nov 7, 2017 • •

North Korea’s acquisition of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y and its declared readiness to use them against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is escalating tension in East Asia. In the U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responding by deploying strategic assets such as B-1B bombers and teh USS Ronald Reagan aircraft carrier to waters around Korea; in Japan, alarm over Pyongyang’s repeated missile launches has helped return the conservative government of Prime Minister Shinzo Abe to power in the recent parliamentary election, allowing him to seek his chief political agenda of revising Japan’s peacetime constitution to permit the island nation’s rearmament.

The UN Security Council has responded to reckless brinkmanship of the Kim Jong-un regime by adopting Resolution No. 2375, tightening a variety of sanctions already in force. Under the latest sanctions, North Korea is prevented from earning foreign exchange through textile exports or manpower earnings. Any country that trades or deals with the North economically will be slapped with a secondary boycott, meaning forfeiture of the privilege of trading with the US. It represents the toughest sanctions yet imposed by the five permanent powers including China and Russia.

It was the ninth such resolution imposed so far on the North by the UN. Pyongyang’s demand to be recognized as the ninth nuclear state alongside the eight countries who already have their nuclear arsenals recognized is running into stiff resistanc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obvious reasons. While India, Pakistan and Israel maintain nuclear options mainly as insurance against outside attacks, North Korea employs it for offensive purposes. In view of its repeated underground nuclear tests, so far counting six such tests, coupled with a volley of ballistic missiles to develop an nuclear weapon that can be used internationally, the Pyongyang regime is making its objective clear for the world to see.

In defiance of objections from its neighbors China and Russia, North Korea continues firing missiles above the skies of Japan, in a clear message of menace to the west coast of the US. Kim Jong-un has explicitly threatened to attack the US and Japan with his nuclear missiles. He argues that he would never give up his nuclear arsenal, citing the cases of Libya’s Moammar Gadhafi, who he claimed was toppled and met a tragic end after giving up his nuclear option. It is a highly self-serving argument, given that Gadhafi’s nuclear program had never reached the stage of actual testing, nor did Libya ever claim it was intended for attacking the US.

All five recognized nuclear powers take an exception to the North Korean nuclear option because of the regime’s uniquely roguish nature. Kim has pursued nuclear weapons in contravention of the six-party anti-nuclear agreement that Pyongyang signed in 2005 in exchange for food and fuel. While it has broken that agreement after taking compensatory aid, the North is the only country that brandishes its nuclear arsenal as an employable weapon against the world’s hegemonic powers. It defends its nuclear choice as a way of countering the “hostile” policy of the US and South Korea.

This logic, however, is untenable because the US removed all of its tactical nuclear weapons from South Korea in 1992 following the North’s agreement to forsake nuclear weapons. Not only has Pyongyang violated this agreement by going nuclear, it seeks to use the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s a bargaining chip to remove the 28,000 US ground troops that are based in the South to deter another invasion from the North. Devoting massive resources to foment an indirect form of aggression, North Korean troops have resorted to periodic provocations, internal sabotage and terror, and ceaseless infiltrations of espionage agents to destabilize the South. Constant military provocations make it clear that North Korea’s nuclear programs are aimed at changing the peninsula’s balance of power.

For years, North Korean officials have claimed that their nuclear capability is aimed at “countering US hostile policy.” But in a recent interview with CNN in Pyongyang, a senior Foreign Ministry official implied that his government was looking for recognition of North Korea as a strategic power in the region. In short, its atomic weapons are not so much meant to deter the US and South Korean military power as to act as an instrument of policy to change the current geopolitical picture. It’s not difficult to fathom Pyongyang’s ambitions. On the back of its nuclear blackmail, Kim Jong-un is pressing for a peace treaty to replace the current armistice agreement with the US. In the past, it claimed South Korea, with a population twice the North’s size, should be excluded from negotiations leading to this peace treaty as Seoul had refused to sign the 1953 armistice agreement. Also this peace treaty would presumably require the withdrawal of foreign troops, meaning US forces.

Such an arrangement will pave the way for the nuclear armed North Korea to take over the South in a manner that North Vietnam took over South Vietnam in 1975 with a blitzkrieg invasion. In sum, North Korea’s nuclear capability represents a short-cut to reunification under Pyongyang’s control. The five established nuclear powers including China and Russia must squarely face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s nuclear acquisition, and what its ultimate objectives are. Failure to reverse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will inevitably trigger a nuclear domino effect in the region, as South Korea and Japan come under pressure to defend themselves.

Japanese Prime Minister Abe is campaigning for revision of the Japanese constitution’s anti-war provision. In South Korea, recent opinion polls showed over 60 percent of the public espousing an independent nuclear arsenal to counterbalance the North. Such a consequence could clearly lead to nuclear development for Taiwan, a situation that will eventually erode China’s preeminent status as the biggest military power in Asia. Given the US role of imposing the global denuclearization regime, there’s scant possibility of Washington reinstating tactical nuclear weapons in South Korea or allowing it an independent nuclear acquisition. Nor would the Trump administration accept North Korea’s nuclear status. US Defense Secretary James Mattis, in Seoul recently for the bilateral annual security consultation, reaffirmed Washington’s commitment to a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categorically rejecting any chance of the US compromising on this point. In the event of a full-scale war, he noted the North stood vastly overmatched by the combined strength of the US and South Korean armed forces as far as conventional strength was concerned. In short, the North will risk a nuclear war only at the risk of its own annihilation.

The outbreak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would mean catastrophic consequences for the entire peninsula, with millions of casualties in life and property. The most desirable course for the North and South is a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s denuclearization. This is the logic behind opinions in the South that the top leadership in Pyongyang should be decapitated before Kim and his party supporters bring about the total destruction of their country while at the same time incur a South Korean devastation. This is why we should all strive for denuclearization of the North even if that involves the risk that come with trying to remove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hrough means outside the scale of war.

By Lee Young-il The writer is a former three-term legislator of the National Assembly who served as the chairman of Korea-China Politico-Diplomatic Forum. The views reflected in the article are his own. -- Ed.

top

中国北朝鮮められない3つの理由

小原凡司 笹川平和財団特任研究員2017620

 

中国北朝鮮核兵器開発反対米国協力姿勢してきたしかし中国米国軍事力行使てのオプションを支持しているではない中国にとって北朝鮮米国との緩衝地帯であることの重要性わらない中国戦略的縦深性にこだわるのだこれが中国北朝鮮して制裁をかけきれない理由でもある一方現実主義者である中国米国軍事力行使可能性視野れている矛盾しているともとれる中国態度背景にある本音はどのようなものだろうか

米国軍事的圧力及中国政治的働きかけそして国連制裁決議にもかかわらず北朝鮮核弾頭大陸間弾道ミサイルICBM開発加速させているこのまま北朝鮮時間稼ぎに成功すれば将来米国する北朝鮮核攻撃という脅威現実のものとなる可能性

 

 米国もそれを理解していないではない201767米国防総省のスーファー副次官補・ミサイル防衛政策担当米情報機関分析づき北朝鮮初ICBM発射実験について、「年内実施できる態勢議会証言したのだ

 

 トランプ政権北朝鮮米本土射程れるICBM保有することを警戒してきた米国何人たりとも米本土自由攻撃できる能力つことをさないましてや大量破壊兵器である核兵器北朝鮮ICBM発射実験成功すれば米国内危機感まり北朝鮮・ミサイル開発放棄現在最大限圧力政策転換られる可能性があるその北朝鮮する米国軍事力行使

 

 北朝鮮米国攻撃できる核兵器保有することが唯一生存手段であるとえている核兵器がなければ米国大国によって体制崩壊させられるとえるのだ自国現在統治システム生存のための核兵器及弾道ミサイル開発たとえ国際秩序すると非難されても北朝鮮があきらめるはずがない

 

中国期待する米国だが……

 

 こうした状況米国中国する期待米国自国軍事的圧力だけで北朝鮮核兵器弾道ミサイル開発放棄させることはしいと20174われた米中首脳会談以降中国協力要求してきた北朝鮮指導部して唯一影響力であり北朝鮮経済的依存しているであるとえられているからだ

 

 2017613ティラーソン国務長官上院外交委員会公聴会において核兵器弾道ミサイル開発ける北朝鮮への制裁、「段階みつつある北朝鮮支援ける第三国する制裁検討していることをらかにした中国などを念頭において国連安保理制裁決議履行不十分だとしてけんしたものとえられている

 

 国連制裁決議後中国から北朝鮮資金物資れているのは事実である2017615米検察当局北朝鮮のマネーロンダリング資金洗浄わったとして中国遼寧省貿易会社して21千万円さえをめて米国首都ワシントンの連邦地裁提訴したとべている検察当局によると北朝鮮わるさえとしては最高額となるというが、「最高額うからにはこれ以外にも複数同様案件発生しているということだ

 

関係利用する北朝鮮

 

 それでは中国本当北朝鮮して経済制裁をかけるがないのだろうか

これまでに何度ってきたことだが中国北朝鮮して経済制裁をかけきれない理由きく3つある

 

 1北朝鮮暴発することだ北朝鮮経済状態悪化すれば社会不安定化して指導者する不満増大するだけでなく核弾頭及弾道ミサイル開発いる資金枯渇部隊かす燃料さえ不足する可能性があるめられた北朝鮮自棄になって軍事的暴発するかもしれないとれるのである

 

 2北朝鮮中国のコントロールかられてしまうことだこれまでも中国経済制裁をかければ北朝鮮はロシアにすりってきた中国とロシアのには不信充満している相互自国安全保障のために重要だとえるエリアで相手影響力まることを警戒するのである

 

 えばロシアは中国海軍がオホーツク行動することにして警戒わにしている20137実施された海軍合同演習海上連携2013中国海軍演習参加艦隊一部分離して宗谷海峡オホーツクったがこの直前ロシア海軍艦隊宗谷海峡からオホーツクっているロシア海軍、「ここがロシアのだということを中国らしめるためだべていた

 

ロシアが北方四島国後島及択捉島して日本返還しようとしないのはこの2がオホーツク重要一部だからであり安全保障上めて重要位置存在するからでもある

 

中国同様極東でロシアが影響力すのを警戒している二国グローバルな視点では協調姿勢せることがいがそれは中国もロシアも米国という最強地域覇権国をけんする必要があるからだしかし極東焦点わせてるとった関係えるのである

これら2つの理由背景には自国にとっての米国との緩衝材としての北朝鮮戦略的縦深性いたくないという中国意識がある

 

 3前述2つの理由とはなり中国国内政治わる理由である中国における中央地方微妙関係反映なのだ北朝鮮との貿易等利益げているのは中央ではない遼寧省等地域なのである

 

 今回米検察当局さえ対象にした中国貿易会社その遼寧省所在する企業であるこの遼寧省という地方には問題がある遼寧省2016経済成長率中国全省唯一マイナスになった地域なのだ北朝鮮との取引遼寧省経済める割合わらず北朝鮮する経済制裁遼寧省経済にマイナスの影響えることは間違いない

 

習近平総書記中国共産党第19回全国代表大会19地方反発いたくはない習近平総書記及びその周辺2016年初めから各省など地方共産党内習近平総書記核心とするキャンペーンをってきたが各地方反応中国メディアの記者研究者には、「19微妙というたちもいる

 

 習近平総書記にとって現在国内政治のパワー・ゲームの季節なのだそれでも中国遼寧省北朝鮮関係黙認しているではない20169遼寧省丹東市遼寧鴻祥実業発展有限公司会長北朝鮮とミサイル開発物資密輸した容疑逮捕されたのに丹東市のトップも更迭された丹東市遼寧省でも北朝鮮との貿易最前線としてられる

 

 中国北朝鮮国内暴発しない程度米国圧力とロシアの思惑国際関係国内政治それぞれのびそれら相互間のバランスをとろうとしているにぎない

 

中国北朝鮮への軍事援助義務はあるのか

 

アジア地域における米国軍事的影響力すことは中国にとっての平和安定した地域情勢すものだ中国米国妨害なしに発展地域及国際秩序構築主導したいとえている中国北朝鮮核弾頭弾道ミサイル開発反対する理由もここにある北朝鮮りかざして米国挑発するのは手招きして米軍さいうにしい行為だからだ

 

 一方中国現実主義者である中国自身これまで不満国家として国際社会におけるらの権利変更しようとしてきたのだ。「ての国家既存国際秩序ら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主張強者によるユートピアニズムであることをっている中国北朝鮮もまたらの権利変更しようとしていることを理解しているしまたそれゆえに北朝鮮核弾頭弾道ミサイルの開発めることにしては悲観的である

 

 そしてその米国軍事力行使があることも中国想定しているということでもあるしかし中国現段階米国軍事衝突しても勝利できないことを理解している中国米国北朝鮮軍事力行使した場合この戦争まれたくないとえるのは当然のことだ

実際20174月頃から中国国内中朝友好協力相互援助条約参戦条項無効主張するがっている。「一方戦争状態った場合他方全力軍事援助える規定した2えば北朝鮮米国開戦した場合中国軍事援助義務があるしかし中国同第1両国世界平和るためあらゆる努力という規定、「北朝鮮核開発はこれに違反しているので中国には援助義務がないと主張するのである

 

 

中国本音

 

 「友誼同盟国である中国のこうした態度北朝鮮っているだろうしかし中国北朝鮮てているのだ中国にとって北朝鮮中国じではないのである中国経済発展して強者目指しつつ国際社会におけるらの権利えようとしているが北朝鮮経済的実力もないのに挑発行為すのだ中国改革開放政策れて経済発展するようし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北朝鮮はこれにじようとはしない

 

 北朝鮮核兵器開発による恫喝1960年代毛沢東主席当時ったことと同様である。「弱者選択として核開発国内資源集中しなければソの妨害排除して生存けることができないとえたのだこれも現在北朝鮮同様である

 

 しかし中国には鄧小平氏がいた1978党第11期三中全会において改革開放政策してから経済発展追求してきたしかし改革開放政策経済政策だけでなく集団意思決定及びボトムアップの政策決定制度化にもつながるものであった金一族独裁的統治システムである北朝鮮にはこれがれられない

 

 一方中国金一族統治なくとも金正恩氏統治にはこだわらない対外的問題えたくない中国にとって米朝軍事衝突といった事態けたい中国状況考慮すれば中国米朝軍事衝突きるくらいであれば北朝鮮国内でクーデターによって勝手体制えられることをむはずだ

 

 それでも北朝鮮国内でのクーデターは積極的期待できるとはえられない米国北朝鮮主張わることはなく衝突コースをんでいるもし米国北朝鮮して軍事力行使したならば中国らが参戦せずに短期間戦闘終了することをうだろう

 

 中国にとっては中国発展強者となって国際社会支配的国家グループの仲間入りをし中国にとって経済的有利である自由国際秩序構築することがより重要である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