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이희아(李喜芽)의 베이징 연주회를 끝마치고 

이희아(맨오른쪽)와 어머니 우갑순 여사(중앙)

2011년 11월 19일 저녁 7시30분 베이징 세기극장(世紀劇院)대강당에서 열린 이희아 피아노 연주회는 한마디로 자리를 함께한 모든 사람들에게 감동과 충격을 안겨준 일대사건이었다. 하나님이 창조한 생명은 그것을 간절한 기도 속에서 갈고 닦으면 그것이 어떤 형태의 것이라 하더라도 보석처럼 번쩍이는 생명으로 거듭난다는 것을 보여준 사건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 자리에 참석하기 전에 이희아라는 피아니스트가 손가락 넷 밖에 없는 장애인이라는 이야기만 듣고 왔는데 막상 무대 위에 나타난 이희아는 양다리와 발도 없고 무릎으로만 걷는 장애인 중의 장애인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인사말에서 자기 딸을 세계 최단신의 피아니스트라고 설명했지만 무릎발로 무대 위를 걸어 나오면서 청중들에게 밝은 미소를 짓는 그녀의 모습을 보고 나는 큰 충격을 받았다.

 

이날 밝은 표정으로 무대로 나와서 청중들에게 인사를 하는 이희아의 어머니를 쳐다보면서 과연 우리 인류가운데 저런 어머니가 있다는 사실이 나에게는 잘 믿기지 않았다. 중증 장애인 남편과의 사이에서 저런 희아를 낳은 어머니의 심정은 어떠했을까. 호모사피엔스로서의 인간은 직립 보행하는 유인원(類人猿)에서 그 첫 모델을 찾는데 희아는 인간으로 인정받기 힘든 모습으로 세상에 태어났다. 양다리와 발이 없고 손가락도 한 손에 두 개씩밖에 없는 아이를 누가 사람으로 인정할 것인가. 과연 희아 같은 애기도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 받은 존재로 보일 것인가.

깊은 신앙의 눈으로 볼 때에만 희아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으심을 받은 존재였을 것이다. 그의 어머니 우갑순 여사는 사람 같지 않게 태어난 희아 아기를 자기의 사랑하는 딸로 받아들였고 그녀를 온 지성으로 키우고 가르쳐서 오늘의 베이징 대극장에서 1700여명의 청중 앞에서 베토벤과 쇼팽과 모차르트를 연주하는 피아니스트로 길러낸 것이다. 또 가장 처절한 불행을 안고 태어난 딸을 잘 키워 하나님을 향하여 영어로 Amazing Grace를 부르는 음악인으로 키워 낸 것이다. 통속적 의미의 인간승리라는 표현으로는 그 의미설명이 한참 모자랄 위대하고 숭고한 어머니 사랑의 극치였다.

피아노 앞에 앉은 희아의 표정은 시종 맑고 밝았다. 베토벤의 “열정”을 연주할 때는 청중들에게까지 힘이 느껴질 정도로 강하게 건반을 쳤다. 특히 쇼팽의 즉흥환상곡은 열손가락이 다 같이 빠른 속도로 작동해야 제대로 연주가 되는 곡인데 네게의 손가락을 빨리 움직여 작곡가의 취지를 애써 살려내 보이는 그녀의 연주 앞에 청중들은 뭉클한 감동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이날 연주회장에는 피아노를 배우는 자녀를 가진 부모들이 자녀와 함께 많이 참여했다. 모든 면에서 희아 보다 좋은 여건에서 피아노를 배우는 자녀들에게 이날의 연주는 놀라운 충격일 것이다. 어느 면에서는 희아 보다 더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었을지도 모른다. 또 피아노 배우기가 어렵다거나 귀찮다고 늑장부리는 아이들에게도 무언가 큰 깨달음을 주었을 것 같다.

 연주회의 끝머리에 희아가 중국청중들을 의식해서인지 찬송305장 “나 같은 죄인 살리신”을 영어로 부를 때 극장 곳곳에서 훌쩍거리는 소리가 들려왔다. 참으로 감동적인 순간이었다. 우리 협회가 베이징에서 이 행사를 협찬한 것은 정말 잘 한 일 같다. 희아의 피아노 연주는 그 자체로서도 훌륭했지만 사람으로 대접받기 힘든 존재로 태어난 자기 딸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자기의 건강한 신체 가짐을 하늘의 큰 축복으로 감사하게 생각토록 만든 그 어머니의 놀라운 사랑이 더 고마웠고 더 위대했다. 이 어둡고 답답한 세상을 향해 비추는 한줄기의 큰 빛처럼 어머니의 참 사랑이 살아 숨 쉬고 있음을 느끼게 해준 이 연주회야말로 참으로 값진 행사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