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삽입 이미지

북핵해결의 길은 유엔제재결의의 성실한 이행뿐이다

 

유엔제재결의의 성실이행만이 북핵을 해결한다.


이글은 2006 11 2 ASEM연구원이 주최한북한의 핵실험이 동북아 정세에 미칠 영향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회의에서 한중문화협회 이영일 총재가 발표한 발언전문 이다


북한의 핵실험은 오늘의 북한을 보는 세계 각국의 태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지난 7월의 미사일 발사와 10월 핵실험 실시 이전까지만 해도 북한은 서구인들에게는 1995년 이래 인도적 지원대상국이었다. 북한이 1995년 엄청난 자연재해로 유엔에 식량과 의료지원을 호소해 왔을 때 세계식량기구(WFP)는 말 할 것도 없고 미국,프랑스, 독일, 영국, 노르웨이, 덴마크, 스위스, 일본 등 전 세계의 주요 선진국들은 앞 다투어 북한 지원에 나섰고 한국에서도 정부수준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50여개의 NGO단체들이 여러 가지 형태로 북한지원을 펼쳤다.

이러한 지원을 통하여 북한은 1999년부터 수백만의 아사자(
餓死者)를 냈던 최악의 상황에서 벗어났다. 작년 5월 중국의 베이징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인도주의(人道主義)적 차원에서 북한을 지원해 온 세계 각국의 NGO대표들이 모여서 이제 대북지원은 인도지원 단계를 넘어 개발협력단계로 전환할 때가 되었다면서 금년부터는 북한의 산업재건을 목표로 개발협력을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다.

{
핵실험은 NGO 기부자들을 없앴다}.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은 유엔안전보장 이사회가 북한에 대한 제재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함으로 말미암아 개발협력의 꿈은 북한의 핵 포기이후의 과제로 밀려나게 되었다. 왜냐하면 이제 정부수준의 지원도 납세자들의 동의를 얻기가 힘들게 되었고 국내외(
國內外)의 NGO들도 寄附者(Donor)를 모으기가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북한지원에 앞장섰던 교회들에서 헌금(獻金)이 심각히 줄어들었으며 또 지금까지 북한지원에 앞장섰던 국내외 NGO들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사태에서 엄청난 배신감을 느끼게 되었기 때문이다.

{
외부침략을 막기 위한 핵개발이 아니다]

북한의 핵개발은 북한자체가 이룩한 경제발전의 결과도 아니고 고도로 발전된 과학기술의 산물도 아니다. 전체인민의 배고픔과 어린이들의 영양실조 위에서, 지구최빈국이라는 열악한 경제 환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외부로부터의 침략위협을 막아 내야할 절박한 상황 때문에 핵개발이 착수된 것도 아니다. 물론 북한은 미국의 압살정책에 대한 억지수단 으로 핵개발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오늘의 세계에서 만성적인 빈곤국가인 북한을 군사적으로 침공할 나라는 없다. 북한에는 이라크처럼 전후복구를 감당할 지하자원도 없다. 미국의 부시 대통령도 북한에 대한 군사공격을 하지 않을 것임을 누차 강조하고 다짐했다. 그러나 북한은 핵실험을 했고 이제 유엔안전보장이사회는 대량살상무기 비확산이라는 인류공동의 염원을 명분으로 하여 북한에 대한 경제, 금융, 무역 면에서 제재를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
나는 미
북 兩者회담을 반대한다]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북한간의 양자회담을 열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나는 그러한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우선 북한의 핵은 미국과 북한 두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의 안보와도 직접 관계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관련당사자들이 모인 6자회담에서 마땅히 논의하고 해결해야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만약 미국과 북한 간에 양자회담이 열린다면 정치심리전면에서 한국은 정신적인 Panic상태에 빠지게 된다.  한국은 반세기전 엄청난 전쟁의 참화를 딛고 일어서서 시장경제와 개방사회의 이점을 살려 오늘날 GDP세계랭킹 11위의 국가로 성장했는데 북한은 그 정반대의 길을 걸어 지구최빈국으로 전락했다. 그런데 미국과 북한 간에 양자회담이 열린다면 세계의 관중석에서는 시장경제에 성공한 한국보다는 핵실험에 성공한 북한이 마치 한반도의 현재를 대변하는 것처럼 투영될 것이다. 이것은 한국국민들의 사기를 극도로 저하시키고 한국도 핵개발을 서둘러야 한다는 여론에 점화할 우려가 있다. 

셋째로 미 북 양자회담이 열릴 경우 북한은 전 세계의 반미여론과 약자동정(
弱者同情)론을 등에 업고 미국에 일방적 양보만을 계속 요구할 것이고 미국이 이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북한은 미국핑계를 대면서 오히려 북한자체의 핵무장을 정당화하려 들 것이다. 핵 포기 아닌 핵보유의 명분만을 얻게 될 것이다. 양자회담을 요구하는 북한의 진의가운데는 이러한 계산이 깔려있을 것이다. 나는 이런 견지에서 미국과 북한간의 양자회담은 북핵문제의 해결방도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
햇볕정책 ,포용정책은 핵실험으로 끝장났다]

현재 북핵문제는 한국정부가 그동안 추진해 온 이른바 햇볕정책(Sunshine Policy)이나 포용정책을 위기로 몰아넣었다. 햇볕정책이나 포용정책(Engagement Policy)은 서로 적대하는 국가들과의 관계를 협력과 화해로 유도하는데 주효한 정책이다. 한국의 경우에서도 북한정권의 목표가 경제재건에 있었다면, 또 개혁개방을 통해 시장 경제적 개혁을 추진하는데 있었다면 북한에 대한 한국의 햇볕정책은 성공한 정책으로 평가받았을 것이다. 한국은 1998년 이래 약 7조 4천억 원 상당의 대북지원을 했지만 북한 경제는 아직 개선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전 세계가 원치 않는 핵실험을 낳고 말았다.
김대중 정권과 노무현정권의 햇볕정책, 포용정책은 이론상 틀린 정책은 아니었지만 정책을 적용받을 상대방을 잘못 선정한 데 문제가 있었다. 북한은 항상
强盛大國 先軍政治 부르짖었을 뿐 개혁이나 개방을 통한 경제발전을 말하지 않았다. 그들은 중국식의 개혁개방의 성과를 칭찬하면서도 자기들은 그 노선을 벤치마킹하지 않고조선식 사회주의를 발전시킨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한국의 김대중 전 대통령은 북한이 개혁개방을 통한 경제개발을 추구할 것이라면서  햇볕정책을 추진했는데 이것은 善意 말해서 김대중 씨 개인의 희망론(wishful thinking)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김대중 정권의 햇볕정책과 이를 승계한 노무현정권의 포용정책은 후란시스 후쿠야마(Francis Fukuyama)가 지적한 것처럼 북한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지 못했으며 핵개발을 돕는 결과를 초래했다.
북한 핵실험은 민족공조나우리끼리하는 표현의 허구성 기만성을 입증했다. 핵실험의 가장 큰 희생자는 한국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제 한국의 북 핵 대책은 민족공조 아닌 한미공조, 국제공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한미안보협력을 강화하는 길 뿐이다.

[
북한에 대한 유엔의 제재는 효과적이다]

지금까지 유엔의 제재결의는 소기의 성과를 거둔 실례가 적다는 비관론이 있다. 그러나 북한의 경우 비록 북한주민들이 그간 어려운 고통을 많이 감내해 왔다고는 하지만 북한이 놓여있는 지경학적 위치에서 보건데 주변국들이 돕지 않는다면 유엔제재를 극복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이다. 또 회교국가도 아니기  때문에 종교적 유대를 통한 국제지원을 얻어낼 수도 없다. 유엔제재에 중국에 소극적이라는 관측이 있으나 그 예상은 정확치 않다. 우선 중국은 유엔제재결의안에 찬성하였으며 북한이 핵실험을 했을 때 중국의 당과 군이 크게 분노했고 그 분노가 해소되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중국은 북한의 핵실험으로 말미암아 동북아시아에서 중국이 누리던 핵독점체제가 깨졌고 일본의 핵무장여론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반도 주변 국가들이 유엔헌장 103조가 헌장상의 의무와 그 밖의 어떤 국제협정상의 의무가 저촉하는 경우 헌장상의 의무가 우선한다는 규정을 상기하면서 유엔의 제재결의를 철저히 준수한다면 북한은 반드시 핵을 포기하게 될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