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브레이크뉴스2011년 4월29일자 정치면 상단에 보도되었음
전 국회의원 이 영 일

4.27 재보선에서 민주당은 분당 을의 국회의원과 강원도지사 선거에서 오차범위 내에서 근소한 차이로 승리했다. 한나라당은 김해 을의 국회의원선거에서 이겼고 2개 지구의 구청장선거에서 승리, 전패는 면했지만 총체적으로 보아 한나라당에게는 실패한 선거로 평가될 것이다.

선거결과를 분석해보면 한나라당은 모두 이길 수 있는 선거에서 패배했다. 분당 을에서 강재섭 후보는 선전했지만 한나라당이 그의 후보로서의 카리스마를 공천과정에서 짓밟아버렸기 때문에 여당이 얻을 수 있는 프리미엄이나 조직을 활성화시킬 동력을 조달하기 매우 힘든 상황에서 선거를 치렀다. 오죽했으면 강재섭 후보가 당 지도부를 향하여 선거지원을 원치 않는다고 까지 말했을까.
(좌편 사진 김태호 당선자)
강원지사의 경우 민주당이 불법전화부대를 적발, 폭로했을 때 엄기영후보자가 당당히 나서서 자신의 선거운동대책본부에 끼이지
못한 친구가 후보를 돕는다고 자발적으로 나서서 일으킨 사건임을 밝히고 이 사건이 자기와 법적으로 무관하고 또 자신의 당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지지자들의 이탈이나 기권을 방지하는데 주력해야 했다.

왜냐하면 선거법위반으로 이광재 지사가 물러난 공백을 메우려는 보궐선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앙당에서 내려와 구성한 선거대책본부는 후보자가 진상규명회견을 해서는 안 된다고 결정, 결과적으로 야당의 부정선거공세에 휘말려 이길 수 있는 선거를 지게 만들었다.



이번 4.27선거의 결과는 민주당의 선전 때문이라기보다는 한나라당의 열등대처와 분열주의의 소산이라고 보아 틀림없다. 표로 들어난 민의의 내면을 살펴보면 한국의 중산층이 민주당을 지지했다고 단정할 수는 전혀 없다. 한나라당의 열등성, 분열성, 리더십의 결핍을 국민들은 나무라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 눈여겨 볼 대목은 예전같으면 철저히 패배해야 할 보선에서 야권의 승리가 의외로 약했다는 점이다. 유권자들이 좌파에 대한 견제와 우려를 내심에 담고 있었기 때문이다. 천안함 폭침이나 연평도 사태에 대한 기왕의 민주당의 태도나 민주참여당의 태도에 변화가 없고 무작정 대북지원이 남북문제를 푼다는 주장을 철회하지 않는 한 다음 총선과 대선에서 민주당이나 야권연합세력은 유권자들의 강력한 저항에 봉착할 것이다.



유시민 대표가 공을 들였던 김해 을 선거결과는 앞으로 맞이해야 할 좌파세력들의 운명의 예고편(豫告篇)이라 할 것이다
top